사이버안전센터 운영

랜섬웨어 수익 감소, 그 이유는?
제목 랜섬웨어 수익 감소, 그 이유는?
작성자 사이버보안팀 등록일 2025-03-31 조회수 66
내용

랜섬웨어 피해액 연도별 변화 (출처: Chainalysis) 

%EC%A0%9C%EB%AA%A9%20%EC%97%86%EC%9D%8C3.png 

2024년 랜섬웨어 개요 


2024년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총 수익은 약 8억 1,355만 달러로 2023년 대비 35%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수익이 줄어든 사례입니다. 특히 2024년 상반기에는 랜섬웨어 공격자들이 약 4억 5,980만 달러를 갈취하며 전년 동 기 대비 2.38% 증가했으나 7월 이후 공격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하반기 피해액 이 34.9%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감소는 피해자들의 랜섬머니 지급 거부 증가와 법 집행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 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024년 초 LockBit과 같은 대형 랜섬웨어 그룹이 국제법 집행 기관의 집중 단속을 받으며 운영이 크게 위축된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랜섬웨어 공격 건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공격자들은 단순한 파일 암호화에서 벗어나 데이터 유출을 활용한 협박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과 기관의 보안 강화 및 법 집행 기관의 지속적인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법 집행 기관으로부터 단속된 LockBit

 %EC%A0%9C%EB%AA%A9%20%EC%97%86%EC%9D%8C41.png 

Akira 랜섬웨어 협박 메시지 

%EC%A0%9C%EB%AA%A9%20%EC%97%86%EC%9D%8C5.png 

주요 랜섬웨어 그룹 활동 변화


Akira 랜섬웨어 협박 메시지 2024년 랜섬웨어 그룹별 활동에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LockBit의 경우 2024 년 초 영국 국가범죄청(NCA)과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대규모 단속으로 인해 하반기 피해액이 79%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국제법 집행 기관들의 협력이 랜섬웨어 조직을 무력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LPHV(BlackCat)은 2023년까지 주요 랜섬웨어 그룹으로 활동했으나 2024년 1월 내부 사기 사건이 발생하면서 조직이 와해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해당 그룹의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랜섬웨어 생태계 전반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 Akira는 2023년 3월 이후 250개 이상의 기관을 공격했으며 2024년 하반기에도 활동을 지속한 유일한 상위 10위 랜섬웨어 그룹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 주요 조직들이 약화된 상황에서도 공격을 이어가고 있어 새로운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2024년 랜섬웨어 피해자 대응 변화 (출처: Chainalysis) 

%EC%A0%9C%EB%AA%A9%20%EC%97%86%EC%9D%8C6.png

피해자 대응 및 데이터 유출 협박


2024년 하반기 랜섬웨어 사건 수는 증가했지만 피해자가 실제로 지급한 랜섬머니 총액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기업과 개인의 지급 거부 사례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이에 대응해 공격자들은 데이터 유출을 활용한 협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에는 새로운 데이터 유출 사이트가 56개 등장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두 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피해자의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유출하여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전략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명성 훼손과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랜섬웨어 조직들은 자금 세탁 방식도 진화시키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믹서 (Mixer)를 통한 세탁이 일반적이었으나 법 집행 단속이 강화되면서 중앙화 거래소 (CEX), 개인 지갑, 브릿지(Bridge) 등을 통한 자금 이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격자들이 감시를 피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자금을 은닉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론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피해액은 감소하고 있지만 공격 건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공격자들은 단순한 파일 암호화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유출을 활용한 협박 전략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법 집행 기관의 단속이 일정 수준의 효과를 거두면서 주요 랜섬웨어 그룹들의 활동이 위축되었지만 새로운 랜섬웨어 그룹들이 등장하며 위협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격자들은 기존의 믹서(Mixer) 서비스를 이용한 자금 세탁 대신 중앙화 거래소(CEX), 개인 지갑, 브릿지(Bridge) 등을 활용하여 법 집행 기관의 감시를 회피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랜섬웨어 위협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및 기관의 보안 강화, 피해자의 적극적인 대응, 법 집행 기관의 지속적인 단속과 국제적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대응 방안


• 정기적인 보안 점검 및 패치 적용 


• 오프라인과 클라우드를 병행한 데이터 백업 


• 피싱 이메일 및 악성코드 대응 보안 교육 


• 데이터 유출 피해를 최소화할 대체 복구 전략 마련 


• 데이터 접근 통제 및 암호화 강화 


• 랜섬머니 지급이 아닌 랜섬웨어 복구 도구 이용


이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재정정보원에 있으며 영리적, 개인적 사용, 무단 수정을 금합니다.

이전 글&다음 글
이전 글 2024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 KISA
다음 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담당부서 : 사이버보안팀
  • 전화번호 : 02-6908-8235
  • 담당자 : 심재인

Q.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평균 4.5점 / 35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