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안전센터 운영

가짜 CAPTCHA 멀버타이징 캠페인
제목 가짜 CAPTCHA 멀버타이징 캠페인
작성자 사이버보안팀 등록일 2025-01-31 조회수 105
내용

멀버타이징의 공격 흐름 (출처: Imperva)  

%EC%A0%9C%EB%AA%A9%20%EC%97%86%EC%9D%8C1.png

구글 검색결과 중 확인된 멀버타이징 (출처: Malwarebytes) 

%EC%A0%9C%EB%AA%A9%20%EC%97%86%EC%9D%8C22.png

멀버타이징 


멀버타이징(Malvertising)이란 악성 광고 Malicious Advertising의 줄임말 로 온라인 광고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멀웨어를 퍼트리거나 악성 사이트로 리다 이렉션 해 공격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공격자들은 웹사이트의 광고 공간을 구매해서 해당 공간에 업로드할 이미지에 악성 코드를 숨겨 광고를 제작합니다. 공격이 숨겨진 광고가 웹사이트에 게시 되면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공격이 숨겨진 광고를 로드 하게 되고 로드가 되는 즉시 광고에 포함된 악성 코드가 실행되어 멀웨어에 감염 될 수 있습니다. 


멀버타이징의 작동 원리로는 광고를 클릭해 악성 코드가 활성화 되는 클릭 기 반 감염 방식과 광고를 로딩 하는 것만으로도 악성 코드가 실행되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방식이 있습니다. 

디셉션애즈(DeceptionAds) 공격 흐름도 (출처: GuardioLabs) 

%EC%A0%9C%EB%AA%A9%20%EC%97%86%EC%9D%8C31.png

디셉션애즈 


디셉션애즈(DeceptionAds)는 최근 발견된 대규모 멀버타이징 캠페인으로, 가짜 CAPTCHA 인증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들을 속여 정보 탈취형 멀웨어인 룸마를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공격입니다. 


이 공격은 Monetag 광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하루 100만 건 이상의 광고 노출을 발생시키며 약 3,000개의 웹사이트를 통해 확산됩니다. 사용자가 악성 광고를 클릭하면 BeMob 클로킹 서비스를 통해 가짜 CAPTCHA 페이지로 리 다이렉션 되며 이 페이지는 사용자의 클립보드에 악성 파워 셸 명령어를 복사 합니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어 정보 탈취 형 멀웨어인 룸마가 시스템에 설치됩니다. 


이러한 공격은 주로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나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발생하며 사용자들이 의심 없이 악성 코드에 감염되도록 유도합니다. 

결론  

디셉션애즈 캠페인은 가짜 CAPTCHA 페이지와 같은 사회공학적 기법을 통해 멀버타이징 공격의 위험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공격은 대규모 광고 네트워크를 악용하여 멀웨어를 은밀히 배포하며 사용자와 광고 생태계 모두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디셉션애즈는 단순한 개인 사용자 뿐만 아니라 기업 및 광고 네트워크의 보안 허점을 악용하여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어 모두가 이러한 공격 기법에 대해 인지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셉션애즈 캠페인에 대한 보안 권장 사항 


 • 의심스러운 CAPTCHA 페이지 경계


 • 소프트웨어 및 브라우저 업데이트


 • 광고 차단 도구 사용


 • 불법 복제 소프트웨어 및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접속 금지  

이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재정정보원에 있으며 영리적, 개인적 사용, 무단 수정을 금합니다

이전 글&다음 글
이전 글 우리나라 정부 부처를 공격한 DDoS
다음 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담당부서 : 사이버보안팀
  • 전화번호 : 02-6908-8235
  • 담당자 : 심재인

Q.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평균 4.4점 / 48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