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2분기에 들면서 HWP 문서내 악성 OLE를 삽입한 공격 사례가 조금씩 발견되고 있습니다. 물론, LNK 바로가기 유형의 악성 코드는 5월까지 꾸준히 보고됐습니다.
특히, MSC 관리콘솔을 이용한 위협이 연이어 식별된 것은 매우 주목할 점입니다. 이른바 ‘백신프로그램’의 탐지율이 저조한 것도 그만큼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김수키 그룹이 MSC 관리콘솔 명령을 국지적 APT 공격에 적극 활용한 이유는 시그니처(패턴) 기반의 보안 탐지 회피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국가배후 위협그룹은 단말에 설치된 백신 프로그램의 탐지를 회피하는 노력을 꾸준히 진행 중입니다. 특히, MSC 기반 공격이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APT 공격에 대한 보안 권장 사항
• 스피어 피싱으로 메일 공격이 들어오기 때문에 의심스러운 메일은 신고 및 차단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C2 서버와 통신을 차단하기 위해 IP 차단을 진행해야 한다.(C2 IP : 89.40.173[.]131, 46.252.150[.]82)
• 각 기관에서는 클라우드 저장소에 대한 정책을 검토 및 계정의 비밀번호 관리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
• Anti-Virus 제품의 업데이트를 최신화 해야 한다. |